IT/정보기기운용기능사

[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] 기출문제 풀이 : 6회

Hodie! 2020. 12. 10. 17:35
반응형

정보기기운용기능사 실기 기출문제 풀이 : 6회

[기출문제]

1.요구사항

      가. 주어진 자료(기출유형 06회.pka)를 참고하여 네트워크 구성 작업을 완성하시오.

      나. 네트워크를 구성 후 최종 산출물(비번호.pka)을 USB에 저장하여 제출하시오.

         ※ 주어지지 않은 설정 값에 대해서는 유효한 값 내에서 임의로 사용하시오.

2. 작업 내용

     가. 시스템 설정 

      ㆍ암호 설정

        - Router에서 "Privilege Mode"에 접속하기 위해 "pass!!" 암호를 입력하도록 하시오.

      ㆍ원격 로그인

        - 관리용 네트워크에서 텔넷을 통하여 Router에 연결하도록 하시오 (텔넷 접속 암호 "pass!!")

          - 관리용 네트워크 이외 모든 텔넷 접속을 거부되도록 하시오.

          - 접속 후 3분 30초간 입력이 없을 경우 세션이 종료되도록 하시오.

      ㆍSwitch Port 관리

        - S1의 관리용 네트워크(Manage_net)에 속하는 포트는 연결하면 바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시오. (Mac-Address를 사용하지 않음)

      ㆍRouter에서 Ping 테스트 시, IP 주소 이외에, s1, s2 server의 호스트 이름(알파벳 소문자)으로 Ping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합니다.

        

     나. IP 주소 및 장치 설정

          IP 주소 할당

                    표를 참고하여 각 장비의 네트워크장치(Interface)에 IP 주소를 할당하고 필요할 경우 각 네트워크 장비의 해당 장치를 활성화 하시오.

          게이트웨이 설정

                    - S1, S2 장비의 게이트웨이는 해당 서브넷에서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마지막  IP주소를 사용하시오.

          ㆍDHCP 서비스 전달(Relay)

                    Server에 이미 관리용, 학생용, 교사용 네트워크에 대하여 DHCP 서비스가 구성되어 있습니다. Router를 통하여 각 PC의 IP주소와 네트워크 정보를 동적으로 받아올 수 있도록 하시오.


     다. VLAN

          VLAN 할당

                    표를 참고하여 Switch에 VLAN을 구성하시.

          ㆍInter-Vlan 구성

                    Router의 Fa0/0 포트에 서브인터페이스(Sub-Interface)를 구성하시오. 서브 인터페이스 이름은 각 VLAN의 ID 값을 사용하고 위 『나 IP 주소 및 장치 설정 → IP 주소 할당』 항의 표를 참고하여 IP 주소를 설정 하시오.

                    - VLAN 통신을 위하여 각 서브인터페이스에 IEEE 802.1q 프로토콜을 적용하시오.

          Trunk Port 구성

                    - Router와 Switch에 구성된 VLAN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시오.

 

     라. 서비스 접속

          웹 서비스 접속

                    각 PC에서 웹브라우저를 열고 “http://skills.com"에 접속하여 아래와 같이 접 속 되는지 확인하시오  (“http://skills.com" 사이트는 IDC_Server에 미리 구성되있음).


[풀이]

- S1 설정

          vlan (number) 명령어를 이용해 VLAN 구성.

          name 명령어를 이용해 VLAN 이름 저장.


          각 포트에 VLAN 번호 설정.


          ㆍ포트에 Trunk 설정


          ㆍSwitch IP 설정

          ㆍint vlan 20 >> VLAN 20 인터페이스 설정

          ㆍip add >> IP 주소 설정

          ㆍip de >> 스위치 게이트웨이 설정


         ㆍ스위치 포트에 연결하면 즉시 사용가능하도록 설정 (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않은 상태에서만 사용해야 함)


- S2 설정

          vlan (number) 명령어를 이용해 VLAN 구성.

          name 명령어를 이용해 VLAN 이름 저장.


          각 포트에 VLAN 번호 설정.


          ㆍ포트에 Trunk 설정


 

          ㆍSwitch IP 설정

          ㆍint vlan 20 >> VLAN 20 인터페이스 설정

          ㆍip add >> IP 주소 설정

          ㆍip de >> 스위치 게이트웨이 설정


- R1 설정

   ㆍ 접속 설정

           ㆍPrivilege mode 접속시 암호 설정

           ㆍTelnet 접속 시 인증 암호 설정

           exec (분) (초) >> 설정한 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연결 종료

           ㆍacc 1 in >> Telnet ACL 설정 인증

          ㆍ관리용 네트워크 범위 주소만 Telnet 접속을 허용하도록 설정

          ㆍPing Test 설정


   ㆍ Inter-VLAN 설정

          ㆍ포트 활성화, dot1Q 프로토콜 적용 및 ip help 명령어를 통한 DHCP 설정


- 테스트

   ㆍ DHCP 할당 확인

   ㆍ 웹 접속 Test

 


   ㆍ 최종 구성 화면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