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/Network

[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] Part 08.

Hodie! 2019. 5. 12. 14:33
반응형

* IGRP (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 의 특징


1. RIP처럼 라우팅 프로토콜


2.
다이나믹 프로토콜.


3.
내부용 라우팅 프로토콜(IGP).


4. Distance - Vector
알고리즘
à. 거리와 방향으로 길을 찾는 프로토콜.


5. CISCO
에서 만들어낸 프로토콜이므로 CISCO 라우터에서만 사용이 가능


6. 5
가지 요인을 가지고 가장 좋은 경로를 선택.


 i) Bandwidth(
대역폭, 속도) : 최적의 경로를 찾는 프로토콜들이 참고하기 위한 값
 ii) Delay(
지연) : 경로를 통해서 도착할 때까지의 지연되는 시간.
 iii) Reliability(
신뢰성) : 목적지R지 제대로 도착한 패킷과 에러가 발생한 패킷의 비율.
 iv) Load(
부하, 하중) : 출발지와 목적지 상의 경로에 어느 정도의 부하가 걸리는지 측정.
 v) MTU(Maximum Transmission Unit) :
경로의 최대 전송 유닛의 크기. 바이트로 표시함.


7. RIP
와는 달리 경로 선택에 있어서 지능적


8. 90
초에 한 번씩 라우팅 테이블의 업데이트가 발생.


9.
최대 홉 카운트 255로 큰 네트워크의 적용에도 문제없음.


* IGRP 명령어 형식


 1. Router igrp (AS번호)


* AS번호 : 동일한 웅영 방식 또는 운영자 아래 있는 라우터의 그룹별로 붙여 놓은 번호.


 2. Network network-number

 à IGRP 라우팅에 참가하는 네트워크를 지정. 항상 router igrp as-number 명령을 내린 후 해야함

수정할 때도 마찬가지. RIP처럼 뒤의 서브넷에 대한 인식 기능이 떨어짐

서브넷을 인터페이스별로 따로주는 방식(VLSM)을 지원 못함.



 3. show ip protocol, show ip protocol


 
à RIP와 같은 방식이며 라우팅 명령만 달라지게 됨


 4. 라우터 구성 후 현재 상태 점검하는 명령어


 
à 구성 파일을 보는 명령어
  : show running-config, show ip route, show interface, show ip protocol, show ip interface(
인터페이스에서의 IP프로토콜 동작 상태를 나타냄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