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Distance – Vector 라우팅 알고리즘에서의 문제점과 해결책.
- 문제점
1. 시간
à 한 번 배운 라우팅 테이블을 계속 전달
à 업데이트가 모든 네트워크에 전달되는 시간(Convergence Time)이 많이 걸림.
à 루핑이 발생하게 됨.
Ex) 업데이트 주기가 30초인
라우터 A는 30초 후에 변경된 라우팅 테이블을 라우터 B에게 보내고
라우터 B는 다시 30초 후에 라우터 C에게 보내게 됨.
à 라우터 C는 라우터 A가 라우팅 테이블 변화를 인지한지 60초후에 알 수 있게 됨.
Ø 라우터가 많아질수록 네트워크 변화를 인지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됨.
문제 발생 시, 루핑이 발생하며 라우터가 제대로 라우팅 정보를 가지지도 못하고 업데이트도
느려지게 됨.
- 해결책
1. Maximum Hop Count
à 최대 홉 카운트를 15로 규정하여 넘어가면 unreachable로 간주하고 flush time이 지난 후에 라우팅
테이블에서 삭제.
15홉을 넘는 경로에는 도달할 수 없음
à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 불가
2. Hold down Timer
à 한 네트워크가 다운되면 붙어있는 라우터가 다른 라우터에게 다운 사실을 알림
à 그 정보를 받은 라우터는 다운된 네트워크에
대한 Hold down 타이머를 시작.
à 외부에서 해당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
경로 정보를 받았을 때 원래 값보다 큰 값이 들어오면 무시.
Hold down카운터가 종료되거나 목적지에 대한 새로운 경로가 가지고있는 메트릭과 같거나 좋은 경로이면 업데이트를 받아들임.
Ø Hold down타이머는 어떤 경로가 죽었다고 판단하면
이 경로에 대한 상태를 바로 바꾸는 것이 아닌,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바꾸는 식.
3. 스플릿 호라이즌(Split Horizon)
à 라우팅 정보가 들어온 곳으로는 같은 정보를 내보낼 수 없다는 의미로,
두 라우터 간의 루핑만을 막기 위해서 만들어진 기술. 모든 라우팅 업데이트를 보내지 않는 것 아님.
Ø 전체 라우터 네트워크의 루핑을 이 기술만으로 막는 것은 어려움.
4. 라우트 포이즈닝(Route Poisoning)
à 네트워크가 다운되면 메트릭 값을 사용할 수 없는 값인 16으로
변경. 다운된 네트워크를 먼저 무한대치로 바꾸어 버리는 방식.
à 라우팅 테이블에서 지워버렸다가 잘못된 라우팅 정보를 받는 일을 미리 막을 수 있는 효과.
5. 포이즌 리버스(Poison Reverse)
à 스플릿 호라이즌의 변형. 포이즌 리버스 업데이트를
사용한 스플릿 호라이즌이라고도 표기.
라우팅 정보를 되돌려 보내기는 하지만 이 값을 무한대 값으로 쓰는
방식
à 경로의 정보를 아주 없애는 것보다 무한대 홉 값을 포함해서 라우팅 업데이트를 하게되면
모든
라우터들은 실수로 잘못된 경로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음
à 중요한 점은 스플릿 호라이즌은 포이즌 리버스 기능 유무에 상관없이
라우팅 루프를 자기 라우터랑
붙어있는 인접 라우터에서만 방지 가능.
Ø 어느 하나만의 루핑 방지법이 아닌 여러가지 방식을 적절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.
'IT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] Part 08. (0) | 2019.05.14 |
---|---|
[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] Part 08. (0) | 2019.05.12 |
[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] Part 08. (0) | 2019.05.10 |
[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] Part 07. - Part 08. (0) | 2019.05.09 |
[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] Part 07. (0) | 2019.05.05 |